본문 바로가기
이것이 궁금하다

원숭이두창 그게 뭔가요?

by 난누구 2022. 6. 11.
728x90

  코로나로 2년 가까운 시간을 힘들게 보내왔는데 위드 코로나로 바뀐 지 얼마나 되었다고 또 다른 전염병인 원숭이두창 이슈로 떠들썩하다. 과연 이 병은 무엇이고 잘 피해 갈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원숭이두창이란?

  Monkeypox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이제는 사라진 '사람 두창' 즉 천연두와 유사하지만 전염성과 중증도 면에서는 낮은 질환이다. 사람 간에는 병변과 체액, 호흡기 비말, 침구 등 오염된 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고 한다. 세계 보건기구에 의하면 감염자는 대부분 자연 치유되며 치명률은 3~6% 안팎이다.

 

원숭이들
원숭이 두창은 원숭이와 사람 모두에게 나타나는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원숭이두창 증상

  감염 후 잠복기는 5~21일로 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원숭이두창에 감염이 되었을 때의 초기 증상은 열, 두통, 근육통, 탈진과 같이 독감과 비슷한 증상과 임파선염을 동반할 수 있다. 증상 발현 후 1~5일이 지나면 얼굴에서부터 울퉁불퉁한 발진이 생기기 시작하여 다른 신체 부위를 통하여 전신으로 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감염 후 2~4주 정도 후 증상에서 회복된다. 간혹 중증으로 발전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다.

원숭이 두창 병변 모습
원숭이 두창 병변 모습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감염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 등이 피부 상처 또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되거나 환자의 성 접촉으로 정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옷, 침구류, 감염된 바늘 등에 의해서 사람의 점막이나 피부 상처 등에 바이러스가 오염되어 감염될 수도 있다. 감염된 원숭이 등과 같은 동물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원숭이두창 환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공기 중 전파 감염이 의심되는 사례도 나오고 있는데 WHO는 원숭이두창이 코로나19처럼 공기로 전파되고 있는지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원숭이두창 백신

  현재 원숭이두창으로 특화된 백신은 따로 없지만 천연두 백신이 원숭이 두창 예방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백신을 권고하지는 않으며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사람과 신체접촉을 한 사람, 원숭이두창 샘플에 무방비로 접촉한 실험실 연구원, 다수의 남성 파트너와 성적 접촉을 한 남성 등 고위험군에게만 접종을 권하고 있다.  

  6월 1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캐나다, 미국, 영국 등은 원숭이두창의 선제적 대응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고 한다. 두창 백신은 바이러스에 노출된 뒤 4일 이내에만 접종을 하면 감염과 중증화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두창 백신 접종으로 85%의 예방 효과를 낸다.

  또한 원숭이두창 치료제는 따로 존재하지 않지만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거나 대증치료를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원숭이 두창 예방법

  원숭이 두창은 주 전파 경로가 직접 접촉이라고 한다. 원숭이두창 발병 나라 여행 시 주의하여야 하며 윈숭이두창 감염자,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개인위생은 우리가 코로나19를 겪으며 계속 지켰던 사항이니 만큼 어렵지는 않은 거 같다.

  며칠 전 원숭이 두창이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확진 시 의무적으로 신고하고 격리해야 한다. 2급 감염병은 전파 가능성을 비춰볼 때 격리가 필요한 질병이며 현재 코로나19, 결핵, 수두 등 22종이 지정되어있다. 

 

원숭이두창 현재 상황

  원숭이두창은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풍토병으로 알려진 바이러스로 지난달 7일 영국에서 첫 발병 보고 후 세계 각국으로 확산 중이다. 6월 8일 현재 전 세계 원숭이두창 사례는 1226건이다.

  우려할 것은 일부 지역에서 지역사회 전파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 점이다. 증상을 보인 대부분의 환자가 남성과 성관계한 남성이었는데 반해 여성 사례가 소수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아직 아시아에서는 발병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코로나19 때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언제 어느 곳에서 발병자가 나와도 이상할 것이 없다. 당장 우리가 해야 할 것은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나씩 계속 나타나는 바이러스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안전하게 살 수 있는지 두려운 마음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다. 

반응형

댓글